OK캐쉬백과 11번가 통합 아이디를 만드는 과정에서 휴대전화 인증번호를 유청하게 됐다. 요청 버튼을 클릭하고 기다리는데 이런 문자가 왔다.
우연인지 SK 홈페이지에 문제가 있는건지 내 PC에 악성코드가 있는건지, 내 스마트폰에 악성앱이 있는건지 원인을 밝혀내기 어렵다. 시간이 밤 11시가 넘은 때라 우연이라고 하기엔 석연치가 않다. 내가 SK홈페이지에서 원 아이디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인증번호를 유청하는 순간 내게 전송 된 문자다 보니 의심이 가시지 않는다. 스마트폰에도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은 삭제하고 수시로 관리하기 때문에 딱히 의심 될만한 앱을 찾기가 어렵다. 어쨌든 이런 의심스런 문자는 경계를 해야 한다.
캡쳐 화면을 보면 인터넷 주소에 링크를 알리는 파란색 줄이 없다. 문자 설정에서 URL 링크를 하지 않도록 설정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클릭해도 악성앱이든 웹페이지든 자동으로 연결 되지 않는다.
SMS 설정 페이지를 보면 URL 연결 설정이 OFF로 되어 있다. 아마 많은 사람들이 ON 상태로 되어 있으리라 본다. SMS로 전송 되는 홈페이지 주소는 문자 길이를 줄이기 위해 단축 URL을 쓴다. 그래서 어디로 연결 되는지 알아내기가 어렵다. 그런 인터넷 주소는 클릭해서 이로울 게 없다. SMS 설정에서 URL 연결을 애초에 차단하면 실수로라도 링크를 클릭해 악성앱이 설치되는 사고를 방지 할 수 있다.
스팸 문자가 먼저 오고 곧 이어 이런 정상 문자가 왔다. 몇 초 정도의 시간차로 왔는데 아직까지 이게 우연인지 악성앱의 작동에 의한 것인지는 아직 파악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해도 SMS 설정에서 URL 연결을 차단한 관계로 별다른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원래 SMS로 오는 URL은 클릭하지 않는다.
혹시나 해서 다음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하니 이런 결과가 나온다. 더콜에서 검색한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스팸 전화번호는 확실한 거 같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 끊임 없이 이런 스팸과 해킹이 시도 된다. 하지만 관심을 갖고 몇 가지만 미리 설정해 두면 혹시나 있을 사기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https://zibsin.tistory.com/158 더콜, 스팸 차단 어플. { 전화가 걸려오면 스팸 여부를 알려준다. }
https://zibsin.tistory.com/198 안드로이드, 어플 자동설치 차단 설정
'IT 이것저것 > 스마트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함관리 앱으로 다들 추천했던 리멤버, 이틀만에 탈퇴하고 지웠다. (1) | 2014.12.01 |
---|---|
내 전화번호를 노출하고 싶지 않을 때 안심번호 0505 (0) | 2014.06.02 |
안드로이드, 데이터 사용량 체크, 통제하기 (0) | 201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