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5.x 네임서버(DNS)와 가상호스트
10년동안 웹호스팅만 사용해 오다 처음으로 서버를 임대 받았다. 서버 호스팅은 리눅스 설치 외에는 별도로 지원되는게 서비스가 없어 서버 세팅과 운영 전반은 사용자 스스로 해결 해야 한다. 딱히 지식도 없으면 무작정 서버 임대부터 했다. DNS란? 그 개념은 너무 많은 책들과 인터넷에 자세하게 설명 되어 있다. 웹서버를 운영하는데는 많은 지식이 필요하지만 한 번 익숙해지면 어렵지 않다. 반복이기 때문에 쉽다고 여겨질만큼 반복 해 보는 것이 좋다. 가정에서 PC를 이용해 직접 서버를 구축 했을 땐 유동IP에 도메인을 연결 시켜야 하는데 이때는 애쓰지 말고 kr.dnsever.com을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실무에 사용할 고정IP 서버가 준비 되었다면 우선 APM을 설치한다. CentOS라면 yum을 이용해 ..
프로그래밍/Web server & Linux
2011.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