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를 블로그와 사이트에 연동을 하긴 했지만 아직까지는 수익을 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편은 아니다. 틈틈히 몇 천원씩 생기는 재미가 있어서 계속 유지를 하고는 있다. 언젠가는 전문적으로(?)로 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애드센스 운영 방법을 계속 찾아보고 있다. 그러던 중 어떤 블로거의 포스팅에서 모바일에서는 애드센스 수익이 거의 없다는 글을 보게 됐다. 그 글을 읽고 나니 웬지 내 블로그에서도 모바일 수익은 거의 없는 거 처럼 느껴졌다. 그래서 모바일 배너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 심지어 화면을 더 확보하기 위해 상단 배너는 제거했었다.
어제 수익 통계를 보다가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됐다. 그동안 모바일 수익이 없다고 생각했었는데 지금까지 수익 중에 절반 정도가 모바일에서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요 며칠 무슨 일이 있었는지 블로그 방문자가 많이 늘었다. 그래서 구글 아날리시스 통계와 애드센스 수익통계를 비교해 보게 됐다.
google analysis를 보면 모바일 접속 중 iOS가 무려 43%나 된다. iOS는 아이폰과 패드, 맥북 등 여러 단말기가 통합 된 것이지만 그래도 적은 숫자는 아니다.
모바일 접속에서는 iOS 비중이 컸지만 전체 OS에서는 단연 Windows 사용자가 90%로 압도적이였다. 많이 사용하는 iOS와 Android는 6.5% 정도에 불과했다.
전체 수익 통계를 보면 데스크톱에서 수익이 56%가 발생하고 있다. 눈여겨 볼 것은 모바일 접속자 비율은 10% 정도지만 수익은 43%로 데스크톱과 비슷하다. 다시 말해 모바일은 방문자 비율에 비해 수익은 상당히 높다. 그동안 모바일에서는 수익이 없다고 등한시 했었는데 지금까지 수익의 절반 정도가 모바일에서 발생했던 것이다.
앞으로 홈페이지를 제작 할 때도 이런 부분을 염두해 둬서 모바일 광고에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
8월 한 달 접속자 통계. 평소엔 500명 정도인데 지난 주말 동안 어떤 키워드가 검색엔진에 걸린 듯 하다. 가끔 다음 포털 메인에 포스팅이 걸렸을 때 이런 경우가 있긴 하지만 이번엔 검색만으로 접속이 된 거 같다. 지난 포스팅에도 같은 말을 했지만 접속자 수와 수익은 정비례 하지 않았다. 단지 기분만 좋았다.
'기타등등 > 애드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애드핏(Kakao AdFit) 수익 공개 및 적립금 지급요청 방법 (1) | 2020.02.29 |
---|---|
애드센스 수익금이 통장으로 입금이 되었습니다. (0) | 2014.04.24 |
광고단위(배너) 별로 수익을 확인 할 수 있는 Google pubulisher toolbar (0) | 201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