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24에서 가상서버호스팅을 받았다. 나는 서버 초보다. 완전초보다. vi 명령어도 esc 누른다음 i, q, qw, w밖에 모른다. 복사 후 붙히기는 마우스로 해결한다. 그런 내가 가상서버호스팅을 받았다. 3년 전에 공부했던 내용은 이미 백지 상태와 다름 없다. 백지 상태에서 나는 다시 서버를 다루고 있다. 완전히 백지는 아닐지 모르겠다. 재생지 정도?
■ 도메인과 서버(계정) 연결 하기
3년 전 서버호스팅을 받았을 때는 내 서버에 네임서버를 함께 구축했기 때문에 많이 복잡했다. 잠깐 당시 경험을 풀어 놓자면, 도메인은 호스팅케이알에서 등록했고 서버는 통큰아이였다. 호스팅케이알에 등록한 도메인을 통큰아이 서버에 연결 시키는 일은 생각보다 어렵고도 고단했다.
호스팅케이알 도메인 관리에 호스트 관리가 있다.
호스트 관리에서 호스트 아이피를 등록하는 부분이 있는데 내가 임대한 서버에 할당 된 고유 주소다. 호스팅 회사에서 임의로 지정해 할당해 준다. 다음은 서버에서 네임서버를 구축하고 가상 호스트까지 여러 수작업을 해야 한다.
http://zibsin.net/113 이 곳에서 네임서버 설정 방법이 설명 돼 있다.
카페24의 가상서버호스팅도 이런 복잡한(?) 과정들이 필요할거라 생각하고 열심히 고민하려고 했는데 뜻밖에 관리 메뉴를 발견하게 됐다.
카페24의 호스팅센터는 웹호스팅/가상서버호스팅의 관리 메뉴를 제공해 주고 있다.
☞ 일단 도메인을 서버의 사용자 계정에 연결 해보자. 네임서버를 변경하고 A레코드를 등록하고 서버에 adduser로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고 홈페이지 파일들이 들어갈 디렉토리를 만들고 디렉토리에 도메인이 연결 되도록하는 기본적인 작업들이다.
서비스 사용현황을 보면 [도메인 추가 연결 및 관리] 버튼이 있다. 일단 이곳에서 대표도메인을 내가 보유하고 있는 도메인으로 변경한다.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의 네임서버는 카페24의 네임서버로 등록 돼 있어야 한다. 네임서버의 주소가 다르다면 아래 설명하는 것들은 의미가 없다. 도메인을 카페24에서 등록한게 아니라면 등록한 회사의 홈페이지에서 네임서버를 카페24의 네임서버로 변경해야 한다.
네임서버가 카페24로 변경 됐다면 다시 호스팅 관리의 서비스 사용현황에서 [도메인 네임서버(DNS)관리]를 클릭한다.
위의 화면에서 +A레코드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의 아이피와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는 화면이 보인다.
아직은 서브도메인을 사용할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은 IP주소만 입력한다.
이제 도메인은 서버까지 도달했다. 서버에서 특정 계정까지 도달하도록 하려면 몇 가지 작업이 더 필요하다.
리눅스에서 사용자를 추가하고 패스워드를 지정하는 명령은 아래처럼 한다.
[root@ ~]adduser wonjustory
wonjustory라는 아이디를 생성한다.
[root@ ~] passwd wonjustory
아이디에 패스워드를 지정한다.
/home이라는 디렉토리에 /home/wonjustory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됐다. 보통 홈페이지는 계정의 하위 디렉토리에 넣기 때문에 홈페이지가 들어갈 디렉토리를 더 만든다.
[root@ ~]cd /home/wonjustory
[root@ ~]mkdir www
www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이제 홈페이지 파일들은 www안에 넣게 된다.
하지만 이대로는 안 되고 www라는 디렉토리의 소유권과 접근권한(퍼미션)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root 계정에서 생성했기 때문에 이 디렉토리는 root의 소유고 root만 접근 할 수 있게 된다. 리눅스에서 파일 소유권과 접근권한은 매우 중요하다.
[root@ ~]chmod 757 www
[root@ ~]chown wonjustory:wonjustory www
퍼미션과 소유자가 변경 됐다. 이제 www 안에 index.php라는 파일을 임시로 생성한다. index 파일이 없으면 아파치 기본 페이지로 들어가게 된다. ftp로 업로드 하거나 vi로 간단하게 생성한다.
여기까지 했다면 준비는 끝났다. 아파치에서 httpd.conf로 가상 호스트 설정을 해주면 끝이다.
■ HTTPD (아파치)
[root@ ~]cd /etc/httpd/conf
[root@ ~]vi httpd.conf
<VirtualHost *:80> |
httpd.conf에 대한 설명은 워낙 많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만 보자면, DocumentRoot는 위에서 생성했던 사용자 계정의 절대 경로가 된다. ServerName에 설정한 도메인은 호스트에 등록했던 도메인이 된다. ServerName으로 접근하면 DocumentRoot로 연결 된다.
가상 호스트의 개수가 많을 때는 참조 파일을 둬서 <VirtualHost *:80> ~ </VertualHost> 부분만 별도의 파일로 관리한다. 파일명은 보통 httpd-vhosts.conf 이렇게 정하는데 conf.d/ 아래에 넣으면 된다. httpd.conf 내용 중간에 이미 *.conf 파일을 include하는 부분이 있다.
호스트 관리 메뉴가 제공되고 있어서 어렵지 않게 도메인과 홈페이지 연결 작업을 할 수 있다.
■ mysql 오류
[root@wonjustory usr]# mysql |
mysql을 실행하지 뜻하지 않게 소켓 오류가 생긴다.
mysqld 데몬을 실행해도 마찬가지다.
[root@wonjustory usr]# vi /etc/my.cnf [mysqld] # Disabling symbolic-links is recommended to prevent assorted security risks; [mysqld_safe] [client] [mysqlid] [mysqldump] [mysql] |
/etc/my.cnf를 열어 위에 색칠 된 부분을 수정하거나 추가한다. mysql.sock은 /tmp 하위 디렉토리에 있어야 한다. 아래처럼 데몬을 다시 실행한다.
[root@wonjustory usr]# service mysqld restart |
'프로그래밍 > Web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CentOS에 텔넷 접속 했을 때 한글이 깨져 보일 때 웹서버 캐릭터셋 설정 (0) | 2019.09.04 |
---|---|
웹서버에서 한메일(다음) 등으로 메일 전송이 되지 않을 때는 KISA에 화이트도메인 등록을 해야한다. (0) | 2019.09.04 |
CentOS 5.x 네임서버(DNS)와 가상호스트 (0) | 2011.08.22 |